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2

미세 먼지와 초미세 먼지? 차이점 알기, 오늘 초미세먼지 농도 확인하기 미세 먼지와 초미세 먼지, 반갑지 않은 친구들 미세 먼지, 초미세 먼지. 뉴스에서 많이 들어 본 단어들입니다. 미세 먼지나 초미세 먼지가 많은 날에는 코로나에 걸린 것도 아닌데 목이 칼칼하고 기침도 납니다. 하늘도 뿌옇고 멀리 보이던 건물이 잘 보이지 않습니다. 이 먼지들은 대체 무엇이고 왜 생기는 걸까요? 미세 먼지와 초미세 먼지의 차이 미세 먼지와 초미세 먼지의 차이는 바로 크기입니다. 각 먼지 입자의 직경에 따라서 구분을 하는데, 한국에서는 지름 10마이크로 미터 이하(PM10)인 먼지를 미세 먼지, 지름 2.5마이크로미터 이하(PM2.5)인 먼지와 지름 1마이크로미터 이하(PM1)인 먼지를 초미세 먼지라고 일컫습니다. 해외에서는 좀 더 세분화해서 부르는데, 예를 들면 지름이 10마이크로미터 이하인.. 2022. 9. 24.
하늘은 왜 푸를까? 하늘은 왜 푸를까요? 맑은 가을 하늘은 푸른 색입니다. 그런데 하필 많은 색 중에서 왜 푸른 색으로 보이는 걸까요? 빛이 산란하기 때문입니다. 태양에서 출발한 빛 에너지는 지구에 도달합니다. 지구는 공기의 층, 즉 대기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빛이 이 대기를 통과하면서, 파장의 길이에 따라 산란합니다. 태양빛은 아주 다양한 길이의 파장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파장의 길이에 따라서 자외선, 적외선, 가시광선, 심지어는 X선 등 방사선도 있습니다. 그 중 우리 눈에 보이는 빛을 가시광선이라고 합니다. 모든 파장의 가시광선이 한 데 모이면 흰색처럼 보이는데, 이를 실험실에서 프리즘 으로 산란시키면 빨, 주, 노, 초, 파, 남, 보의 여러 가지 색이 보입니다. 프리즘이 빛을 산란시키듯, 지구의 대기도 빛을 산란.. 2022. 9. 13.
화산 폭발과 지구 온난화가 관련이 있을까? 화산 폭발과 지구 온난화가 관련이 있을까요?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습니다. 흥미롭게도 화산 폭발이 지구 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각각 반대로 주장을 하는 것 같습니다. 다음을 살펴 보도록 합시다. 화산 폭발은 지구 온도를 높여 지구 온난화를 가속화한다. 화산이 폭발하면 대규모의 이산화탄소를 분출합니다. 그럼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됩니다. 또한 수중 화산이 폭발하는 경우, 어마어마한 양의 수증기가 성층권까지 올라갑니다. 물론 이러한 경우는 드물지만, 2008년 알래스카의 카사토치화산, 2015년 칠레의 칼부코화산, 그리고 2022년 통가 해저 화산이 폭발할 때 이런 현상이 일어났습니다. 특히 통가 해저 화산 폭발 시, 엄청난 양의 수증기가 성층권까지 내뿜어졌.. 2022. 9. 12.
태양과 흑점 흑점이 무엇인가요? 태양에는 부분 부분 검게 보이는 부분이 있습니다. 이것을 우리는 흑점이라고 부릅니다. 태양은 강한 자기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자기장에 의해 태양의 대류가 방해를 받고, 주변(약 5800K)보다 온도가 낮은 곳이(약 4000~5000K) 생깁니다. 온도가 낮은 부분은 주변에 비해 약 40%가량 어두워, 우리가 관측할 때 검은 점처럼 보이게 됩니다. 흑점의 크기는 매우 다양한데, 어떤 흑점은 지구의 몇 배 크기 수준으로 큽니다. 또 각 흑점에 과학자들이 번호를 붙여 두었습니다. 흑점이 지구와 무슨 상관이 있을까요? 인류는 오랜 기간에 걸쳐 태양의 흑점을 관찰해왔습니다. 1700년 전 중국의 천문학자는 태양에 까마귀가 있고, 이 까마귀는 며칠 뒤 없어졌다고 기록했다고 합니다. 이것은 아.. 2022. 9. 11.
위도와 경도? 위도와 경도 위도와 경도는 지구 상의 위치를 모두가 정확히 알고 표현할 수 있도록 세계적으로 약속한 기준입니다. 지도는 평면이지만, 사실 지구는 구형이기 때문에 지구의 중심에서 모든 방향으로 360도까지 각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형의 지구에서 위치를 정확히 표시하려면 경도와 위도의 개념이 필요합니다. 위도란 무엇입니까? 위도는 적도를 기준으로 북쪽 또는 남쪽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나타냅니다. 적도를 기준으로 0도가 되며, 남북으로 각각 90도까지 나타냅니다. 적도의 북쪽을 북위라고 부르며 N(North)으로 표시하고, 남쪽을 남위라고 부르며 S(South)라고 표시합니다. 북위 90도가 북극, 남위 90도가 남극입니다. 적도에 평행하게 지구 둘레를 따라 가상의 선을 그어 ‘위선’이라고 하며,.. 2022. 9. 11.
화석이란? 화석이란 무엇일까요? 화석은란 일반적으로 아주 오래 전 생물의 유해가 땅 속에 묻혀, 아주 오랜 시간에 걸쳐 유기물은 분해되어 모두 또는 일부 사라지고 다른 물질(주로 무기물)이 그 자리를 대체하여 만들어집니다. 이 화석을 통해 오늘날 사람들은 과거에 어떤 생물이 있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 또한 화석은 그 지층이 생긴 시대(캄브리아기 등)를 유추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도 합니다. 화석의 종류 화석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체화석 생물 자체가 화석이 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생물은 골격 요소가 있습니다. 뼈, 이빨, 껍질 등이 그것이며 생명체가 부해될 때 이러한 골격 요소는 그대로 남을 수도 있고 이 골격이 다른 물질로 변하거나 광물이 침투해 화석이 될 수 있습니다. 체화석의 범주를 넓게 보면 몰.. 2022. 9. 11.
기후변화란? 기후변화란 무엇인가요? 기후변화는 우리 생활에 이미 영향을 미치고 있는 현상으로, 전 세계적 수준에서 주목하고 있는 환경문제입니다. "기후"는 지구상의 대기 상태를 의미합니다. 기온과 습도, 강수량 등이 기후의 구성 요소입니다. “기후변화”란 말 그대로, 기후를 구성하는 기온 등이 변화하는 것을 말합니다. 최근 기후변화가 문제시되고 있습니다만, 그 중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것이 기온입니다. 지구 온난화가 심각해지고 있다는 이야기도 심심찮게 들립니다. 세계의 연평균 기온은 100년에 0.72℃ 상승하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IPCC의 5차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과거에 비해 기온이 현저히 상승하고 있다고 합니다. 기후변화는 왜 일어나나요? 기후변화가 일어나는 요인은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로 나눌 .. 2022. 9. 11.
기후변화와 세계의 탄소 정책 기후변화 위험과 파리 협정 세계 기온이 2℃ 이상 상승하면, 지구에는 다양한 위기나 식량 문제가 일어납니다. 따라서 기온 상승을 2℃ 미만으로 억제하기2016년 파리협정에서 인류가 어떤 대책을 세우고 실천해야 할 지 지침을 세웠습니다. 파리 협정 2015년 11월 30일부터 12월 13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유엔 기후변화 틀 조약 제21회 체약국회의(COP21)에서는 새로운 법적 틀이 되는 '파리협정'을 포함한 COP 결정 이 채택되었습니다. 파리 협정은 '교토 의정서'의 후계가 되는 것으로, 2020년 이후의 기후변화 문제에 관한 국제적인 틀입니다. 교토 의정서에서는 일부 선진국에 온실가스 배출 삭감이 제한되어 있었지만, 이 파리 협정에서는 선진국뿐만 아니라 모든 국가에서 해야 할 노력에 대해 .. 2022. 9.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