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외화 버는 프리랜서의 초간단 종소세 신고 방법 및 절세 꿀팁 대방출

by !lilililii 2025. 5. 6.
반응형

외화 버는 프리랜서의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절세 노하우까지

 

외화 벌어서 애국하는 프리랜서분들을 위한 종소세 신고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특히 요즘같은 시대에 외화 벌어오는 애국자들에게 세금을 감면해 주는 혜택이 있다면 참으로 좋겠습니다...)

 

본 포스팅은 사업자등록 없이, 프리랜서로 해외 클라이언트와 거래하는 번역가, 디자이너, 개발자 등이나 구글 애드센스 수익이 있는 분들을 위한 글입니다.

thumbnail

 


종소세 신고 전 Check! 

1. 연 사업소득이 (즉, 수입액) 원화 7,500만원 미만인가?

 

Yes!⭕
7,500 만 원 미만
이면 '간편장부 대상자'이므로, 단순경비율로 신고합니다.

충분히 혼자서도 할 수 있으니, 이 블로그 창을 띄워 놓고 차근차근 따라해 보세요!

 

No!

7,500만 원 이상이면 '복식부기 의무자'이므로 기준경비율로 신고합니다. (단, 당해연도 신규사업자는 간편장부 대상자로 신고 가능)

안타깝지만 세무 지식이 없는 개인이 복식부기 방식으로 장부를 작성하는 일은 매우 어려우니(복식부기 방식이란? 차변과 대변을 나누어 자산, 부채, 자본 비용, 수익 흐름을 총 합이 같도록 일치해 정리하는 방식), 세무사의 도움을 받으시길 강력 추천합니다. 시간을 아끼고 정신 건강을 보호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업 종 별 복식부기 의무자 간편장부 대상자
가.농업·임업 및 어업, 광업, 도매 및 소매업(상품중개업을 제외한다), 부동산매매업, 아래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사업 3억원 이상자 3억원 미만자
나.제조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수도·하수·폐기물처리·원료재생업, 건설업(비주거용 건물 건설업은 제외), 부동산 개발 및 공급업(주거용 건물 개발 및 공급업에 한정), 운수업 및 창고업,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상품중개업, 욕탕업 1억5천만원 이상자 1억5천만원 미만자
다.부동산 임대업, 부동산업(부동산매매업 제외),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 교육 서비스업,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가구내 고용활동 7천5백만원 이상자 7천5백만원 미만자

 

 

2. 고객에게 대금을 받을 때, 현지 세금을 떼지 않고 받았는가? (예: 미국 번역 에이전시와 거래했는데, 계약단가에 맞게 책정한 견적 2,000 USD 그대로 2,000 USD 전액을 송금받은 경우. 즉, 미국에 세금을 내지 않은 경우)

Tip! PO / Invoice 항목에서 Tax가 0인지 확인합니다. 에이전시가 있다면 지급 담당자와 확인하세요.

 

Yes!⭕
이 블로그 창을 띄워 놓고 차근차근 따라해 보세요!

 

No!

이미 현지에 세금을 냈다면, 대한민국에 또 낼 필요가 없을 수 있습니다. 정신건강을 위해 세무사와 상담하세요.

 


FAQ

Q. 한국에 거주하는 한국인이며 해외 고객을 대상으로 일하는 프리랜서 번역가입니다. 모두 페이팔이나 외화통장을 통해 돈을 받고 있습니다. 납세 안내문도 오지 않았고 종소세 신고 시 수입액도 조회되지 않던데, 그래도 종소세 신고해야 하나요?

 

A. 네. 대한민국은 거주자에게 '국내외에서 발생한 소득세가 과세되는 모든 소득'에 대해서 과세합니다.

사업이나 근무 기간 중 국내 거주자로 간주된다면, 해외 근로소득 또는 사업소득 역시 국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입니다. 국세청에서 개인의 외화 통장 거래내역까지 홈택스 시스템과 일일이 연계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국세청이 외화 입금 내역을 모른다는 뜻은 아닙니다. 홈택스와 연계되지 않을 뿐 모두 통보되니 누락하지 말고 원화로 전액 환산하여 신고하세요.

 

참고로 근로자가 아닌 프리랜서의 경우 종소세 신고 금액이 추후 대출 유불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더더욱 꼬박꼬박 신고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추후 국세청이 프리랜서 소득을 포착하면 무신고가산세와 납부불이행에 따른 이자까지 더해 소득세가 부과되니 누락 없이 꼭 신고하시길 바랍니다.

 

 


 

 

Q. 이미 해외에서 현지 세금을 뗀 금액을 받았습니다. 외국에 세금을 이미 납부했는데 국내에 또 납부해야 하나요?

 

A. 아니요. 대한민국은 이중과세방지를 위해 다양한 국가와 조세협약을 맺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국세청에서 발간한 '해외납세자 세무안내'를 참고하세요. '외국납부세액공제' 제도를 활용할 수 있으니, 자세한 사항은 세무사와 상담하거나 국세청 민원 문의 등을 통해 알아보세요.

이중과세
출처: 국세청 발간 ' 해외납세자 세무 안내 '

 

 

Q. 원화로 환산해서 신고해야 한다는 건 알겠는데, 환율이 매일 바뀌는데 대체 뭘 기준으로 신고하나요?

 

A. 입금일 당일 환율 기준으로 신고합니다. 엑셀이나 구글 스프레드시트가 필요하며, Vlookup함수를 사용하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엑셀을 잘 사용하는 분들이라면 아주 쉬운데요, 익숙하지 않은 분들도 따라하실 수 있게 아래 글에 자세히 정리해 두었으니 참고해 보세요.

 

종소세 외화 달러 수입금액 환율 계산해서 원화 환산하는 방법(2024년도 일별 환율 엑셀파일)

종합소득세 신고 시 달러 등의 외화 수입금액을, 당일 환율에 따라 엑셀을 이용해 원화 환산하는 방법 종소세 신고의 달이 밝았습니다.외화 버는 프리랜서라면 정보를 찾기가 쉽지 않으실텐데

titirang.com

 

 

 

 


종합소득세 신고 절차

1. 홈택스 접속

국세청 홈택스 (hometax.go.kr)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국세청 홈택스

 

hometax.go.kr

 

 

 

2. 종합소득세 신고 서비스 '바로가기' 클릭

screenshot

 

3. 로그인

보안프로그램 설치 후, 원하는 방식으로 로그인합니다.

저는 가장 간단한 '카카오톡' 또는 '네이버앱' 인증을 통한 로그인 방식을 선호해서, '간편인증'을 선택했습니다.

 

screenshot_hometax

 

screenshot_hometax
본인 명의의 휴대폰 개인 정보를 입력합니다.

 

 

screenshot_hometax_kakaotalk
이 창이 뜨면, 휴대폰에서 카카오톡 어플을 열고 '카카오톡 지갑'에서 '인증하기'를 눌러 인증합니다.

 

 

4. 신고서 작성

 

1) 맨 위의 '모두채움 신고/ 단순경비율 신고' 란에서 '정기신고'를 클릭합니다.

 

screenshot_hometax

 

 

 

2) 주민등록번호란의 '조회' 버튼을 클릭합니다.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되면, 확인 후 파란 버튼 '저장 후 다음으로 이동'을 클릭합니다.

 

screenshot_hometax
'조회'를 누르면 모든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WOW 완전 간편해 yo

 

 

 

3) '사업소득(사업자인 경우)'을 선택합니다. 사업자 번호가 없어도 괜찮아요❣

 

screenshot_hometax

 

 

4) 사업장 정보 입력

 

화면을 조금 스크롤해서 내립니다.

아래 스크린샷을 보고, '사업장 추가입력', 사업자 등록번호 '없음', '업종코드 찾기'를 차례로 선택합니다.

 

 

screenshot_hometax

5) 업종코드 입력

 

외주를 받아 일하는 프리랜서라면, 업종 코드 940909를 입력합니다. 

 

*예) 번역가 업종 코드 설명
940909(기타 자영업, 면세): 외주를 '받는' 프리랜서 입장이면 분야 무관 이 코드로 신고합니다.
749902(번역 및 통엽 서비스업, 과세): 이 코드는 외주를 '주는' 번역사 등을 위한 코드입니다. 예를 들면 번역 에이전시 사장님이면 이 코드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screenshot_hometax

 

 

screenshot_hometax
이렇게 뜨면 성공!

 

 

 

6) 수입급액 입력

수입급액을 입력합니다. 개인 계좌로 들어온 달러나 유로화, 엔화 등의 수입금액은 자동으로 조회되지 않으므로 직접 입력해야 합니다. 

 

 

먼저 '수입금액 정정/삭제' 버튼을 클릭합니다.

screenshot_hometax

 

 

그러면 이와 같이 새 창이 뜨는데요, '총수입금액' 란에 귀속년도의 총 수입금액을 한국돈, 즉 원화로 환산해서 입력합니다. 입금일 당시의 환율을 기준으로 계산해서 총합을 입력하면 됩니다.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다면 이 글을 참조하세요) 이때 별도로 증빙자료를 첨부하라고 하지는 않습니다만, 정확히 계산해서 입력해야겠지요?

 

 

screenshot_hometax

 

 

7) 공제 입력

 

이 부분은 개인별로 매우 다르므로, 상황에 맞게 공제 항목을 누락 없이 잘 입력하세요.

버튼을 누른다고 불이익이 생기는 게 아니니 잘 모르겠으면 조회/불러오기 버튼은 다 눌러 보세요. 나라가 나의 정보를 생각보다 잘 알고 있어서(?) 알아서 잘 입력됩니다;;;

 

크게 인적공제, 소득공제, 세액공제로 나뉩니다.

 

가. 인적공제

인적공제는 한부모가족, 장애인 등의 여부나 부양가족 유무에 따라 달라집니다. 특이사항 없는 경우 공제 해당 없습니다. 인적공제는 '인적공제 수정' 버튼을 누르면 입력 및 수정이 가능합니다. 주민등록번호 조회 시 자동으로 입력되므로 어렵지 않습니다.

screenshot_hometax

 

 

나. 소득공제

기부금 소득공제, 연금 보험료, 소기업소상공인 공제부금 등의 항목이 있습니다. 특이사항 없는 경우 공제 해당 없습니다.

'국민연금보험료 불러오기' 등의 버튼을 눌러 보면 본인에게 해당하는 항목은 조회가 됩니다.

 

국민연금·기타연금보험료 공제 도움말

  • 국민연금보험료 : 국민연금법에 따라 종합소득이 있는 거주자가 부담하는 연금보험료(사용자 부담금은 제외) 전액 공제
  • 공무원연금보험료 : 공무원연금법에 따라 종합소득이 있는 거주자가 부담하는 기여금(또는 부담금) 전액공제
  • 군인연금보험료 : 군인연금법에 따라 종합소득이 있는 거주자가 부담하는 기여금(또는 부담금) 전액공제
  • 사립학교교직원연금보험료 : 사립학교교직원연금법에 따라 종합소득이 있는 거주자가 부담하는 기여금(또는 부담금) 전액공제
  • 별정우체국연금보험료 : 별정우체국법에 따라 종합소득이 있는 거주자가 부담하는 기여금(또는 부담금) 전액공제
  • 국민연금·공무원연금·군인연금·사립학교교직원연금 등 공적연금보험료로 납입한 연금보험료에 대해 소득공제를 받은 경우에는 향후 연금 수령시과세대상이며, 받지않는 경우에는 과세대상이 아니므로 다른 소득공제보다 후순위로 받으셔야 합니다.

 

다. 소득공제

전자계산서발금전송세액공제, 혼인세액공제, 자녀세액공제, 연금계좌새액공제 등이 있습니다.

 

'도움말' 버튼을 누르면 아래처럼 설명이 자세히 나오니, 신혼부부나 자녀가 있는 분들은 해당 항목을 적극 활용해 보세요.

혼인세액공제

  • 적용대상 : 혼인신고를 한 거주자
  • 적용연도 : 혼인신고를 한 해(생애 1회)
  • 공제금액 : 50만원
  • 적용기간 : 2024~2026년 혼인신고 분
- 2024년부터 2026년까지의 기간에 혼인신고를 한 경우 세액공제를 적용

 

저같은 경우는 연금계좌를 적극 활용해서 세금 공제 혜택을 톡톡히 보고 있습니다.

 

screenshot_hometax
'연말정산간소화불러오기' 클릭

 

 

 

screenshot_hometax_연말정산
새 창에서 '불러오기' 클릭

 

내가 납입한 연금저축, ISA만기 시 연금저축 계좌 전환액 등이 자동입력됩니다.

 

5. 결정세액 확인 후 신고서 제출

결정세액은 (48)번 항목에서 확인합니다.

 

마지막으로 모든 내용을 꼼꼼히 검토 후, '동의합니다' 버튼을 클릭하고 제출하면 됩니다.

screenshot_hometax_결정세액

 

혹시 연금저축 소득공제 적용하시는 분들 중, 아래와 같은 메세지가 나오는 경우?

 

납입액screenshot_hometax

 


당황하지 마시고 아래 '연금계좌납입액' 부분의 금액을 메모합니다.

그런 다음 다시 (40)번 항목의 '연말정사간소화항목불러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팝업 창의 '연금저축' 란에 해당 금액을 입력하면 됩니다.

 

과학기술인공제, 퇴직연금 공제의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 가능합니다.

 

다음 화면에서  '신고서 제출하기' 버튼을 클릭하고, 세금을 납부하면 완료입니다.

 

 

6. 세금 납부

 

안내에 따라 세금을 납부합니다. 계좌, 지로 등 다양한 납부방식이 있으니 편한 방식으로 납부하세요. 이때 안내되는 계좌번호는 개인별로 임시 생성되는 나만의 계좌번호랍니다. 송금 시 수취인이 '국세 - 내이름' 또는 '서울종소내이름' 등으로 떠요.

 

주의! 국세와 별도로, 지방세도 따로 내야 합니다. 즉, 종소세 신고 후 세금을 총 2번 내야하니 잊지 말고 지방소득세까지 꼬옥 납부하세요!

 

screenshot_hometax_소득세

 

프리랜서 절세 노하우

컴퓨터로만 주로 작업하는 번역가 등의 프리랜서라면, 물론 세무사와 상담하면 달라질 수 있습니다만 안타깝게도 공제할 항목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럼에도 아래와 같은 제도를 적극 활용하면 세금을 공제받을 수 있답니다!!

 

1. 연금저축(매년)

저는 증권사에 '연금저축 계좌'를 만들었습니다.

제가 만들 당시 세액공제 한도가 연간 400만원이었는데, 이제 늘어나서 (총급여 5,500만원 이하 기준) 2025년 현재는 연간 납입액 기준 900만원 한도로, 최대 16.5%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단, 종합소득금액 4,500만원 초과 또는 총급여 5,500만원 초과 시에는 13.2% 세액공제됩니다.

 

저는 이 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올해 세금을 대폭 감면받았고, 덕분에 올해 낸 종소세는 0원이었습니다. 🥰🥰

꼭 900만원까지 내지 않아도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 여러분도 적극 활용해 보세요!

 

주의: 900만원 이상 넣더라도 세제 혜택이 늘어나지는 않습니다. 단, ISA계좌 만기 시 만기 금액을 연금저축 계좌로 전환입금하면 추가 세액공제 가능!

 

 

2.  ISA 계좌(3년마다)

ISA 계좌도 절세 혜택이 있는데요. 이 계좌는 매년 절세 혜택을 주는 것은 아니고 해지 시 줍니다.

 

이때 주의할 점! 해지 전, 해당 계좌를 통해 매수해 둔 주식이 있다면 전량 매도하여 현금화한 후 해지하세요. 물론 정상적인 증권사라면 이 방법을 안내하지만, 저같은 경우는 모 증권사를 이용했는데 문제가 있는 증권사 업무프로세스 및 담당자의 착오로 주식을 현금화하지 않아 세제혜택을 전혀 보지 못했던 매우 열받은 경우가 있으니 여러분은 주의하세요. ㅡㅡ

 

 

아무튼 이 계좌는 3년의 의무 가입 기간 후 해지 시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고, 이때 만기 후 60일 이내 투자금을 연금계좌로 이전하여, 납입액의 10%(최대 300만원 한도)까지 추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미 연금저축 계좌에 세액공제 최대 한도900만원을 넣었는데, 당해연도 ISA계좌를 만기하며 만기 자금 3,000만원을 을 연금계좌로 전환이체하면 그 10%인 300만원을 추가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즉 해당연도 세금은 1200만원까지 공제받을 수 있는 것이지요.

 

이 부분에서 종소세 신고 시 세금 감면 효과를 톡톡히 볼 수 있는 것인데요.

이러한 세금 혜택을 받겠다고 무리하게 연금저축 계좌에 돈을 넣는 것은 주의해야 합니다.

내 연간 소득이 얼마 안되어, 낼 세금도 얼마 안되는데 무리하게 최대 세제 한도인 1200원까지 맞출 필요는 없는 것이지요. 연금저축 계좌에 넣은 돈은 만기 전에 중도인출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단, ISA 계좌에서는 중도인출 가능)

 

 같이 보면 좋은 글

 

 

종소세 외화 달러 수입금액 환율 계산해서 원화 환산하는 방법(2024년도 일별 환율 엑셀파일)

종합소득세 신고 시 달러 등의 외화 수입금액을, 당일 환율에 따라 엑셀을 이용해 원화 환산하는 방법 종소세 신고의 달이 밝았습니다.외화 버는 프리랜서라면 정보를 찾기가 쉽지 않으실텐데

titirang.com

 

 

 

MS 용어집 사이트 없어졌나요? 아뇨 있습니다!(링크 공유, 사용방법 소개)

마이크로소프트 언어 포털 없어졌나요?예전에는 아래처럼 생긴 Microsoft 언어 포털이 있었습니다.주로 IT관련 번역을 하는 분들이나 일부 개발 관련 전문가분들이 유용하게 사용하곤 했는데요.

titirang.com

 

 

외화 버는 프리랜서를 위한 인보이스 무료제작 사이트

인보이스란?특히 해외 클라이언트에게 대금 요청을 할 때에는 인보이스(invoice)를 보내야 합니다. 클라이언트가 제공하는 양식을 사용하거나 클라이언트의 자체 제작 사이트에서 자동으로 결제

titirang.com

 

 

반응형

댓글